우리는 학교나 직작이나 가정에서도 모두 나와 나 이외의 어떤 타인과 서로 의지하고 조화를 이루면서 살아가게 됩니다. 한 사람인 나를 중심으로 부모, 친척, 직장 동료, 사회, 국가, 세계 등으로 그 영역을 넓혀 가면서 인간관계를 형성해 나갑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경험하는 많은 문제들을 보면 그 원인이 바로 인간관계에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오늘날 우리 사회에 일어나는 많은 갈등은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지 못하는데 그 주요 원인이 있습니다. 인간관계를 통하여 우리의 삶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개인의 삶의 질이 좌우됩니다. 인간관계가 우리의 삶 속에서 갖는 중요성을 알아보기로 합시다.
1. 인간관계는 인간을 인간답게 한다.
우리를 보다 인간답게 하는 것은 바로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한 인간관계입니다. 인간으로 태어났으나 인간과의 상호작용이 전혀 없었던 인도의 늑대 어린이 카말라의 이야기는 이를 극적으로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례는 인간관계라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서만 인간이 인간다워진다는 사실을 입증합니다. 우리는 인간관계 속에서 서로 인가으로 대하고, 관심을 갖고 서로의 욕구에 반응하는 법을 배우게 됩니다. 즉, 사회화가 되는 것입니다.
우리 각자가 다른 사람을 대하고 관계 맺는 방식과 그 관계의 질이 우리가 어떤 종류의 사람이 되는가를 결정하게 됩니다.
2. 인간관계는 인간을 가치 있는 존재로 만든다.
좋은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유지, 발전시키는 데 필요충분조건은 자기도 수용하고 타인도 수용하는 자세입니다. 자신과 다른 사람을 중요하고 가치있는 존재로 받아들인다는 것은 완전하고 흠이 없어서가 아닙니다. 다른 사람의 눈에나 자신의 관점에서 장점으로 보이는 부분도 있고 단점으로 보이는 부분도 있을 수 있으며, 잘할 때도 있고, 실패할 때도 있습니다. 이러한 양면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서로를 소중하고 가치있는 존재로 여길 때 서로를 수용할 수 있으며, 서로를 수용할 수있게 될 때 너와 내가 함께 가치있는 인간다운 존재가 될 수 있습니다.
3. 인간관계 속에서 개인의 정체성이 발달한다.
자아정체감이란 현재의 자신의 위치, 능력, 역할 및 책임에 대한 분명한 인식으로서 자기정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아정체감이 결정적으로 형성되는 것은 사춘기부터 청년기까지이지만 여기에는 인생 초기부터 수많은 인간관계의 경험들을 통해서 축적되어 온 자신감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청소년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에 관해서 가지는 이미지에 대해서 이전보다 훨씬 더 민감하게 적극적인 관심을 갖게 됩니다. 이러한 청소년기의 건강한 정체성의 발달은 성인기의 성공적인 결혼생활과 직장생활의 적응, 그리고 노년기의 정신건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4. 인간관계는 성공적인 직장생활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
탁월한 기술과 재능이 생산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 되기도 하지만, 다른 동료들과 함께 효과적으로 일할 수 없으면 그 직장에서 살아남을 수가 없다. 면접관들이 신입사원 지원자들을 면접할 때 마음에 두는 중요한 기준의 하나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잘 어울려서 일하룻 있는가 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직장인들은 회사 내에서 인간관계의 불화 때문에 회사를 가장 그만두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므로 탁월한 기술과 재능만으로는 성공적인 직업을 보장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하다는 것입니다.
5. 인간관계는 신체 및 정신 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인간관계 속에서 애정 경험이 신체 발달에 중요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 정서적 왜소증입니다. 부모나 주위에서 돌보는 사람들의 안정되고 따뜻한 보살핌은 대뇌의 시상하부와 뇌하수체를 차례로 자극하여 성장 호르몬의 분비를 와성하게 함으로써 신체 밝육을 촉진시킵니다. 그러나 애정의 결핍으로 안아주거나 쓰다듬어 주는 등의 신체 접촉 등을 포함하는 애정이 담긴 보살핌이 장기적으로 결여될 때 성장 호르몬의 분비 저조로 신체적 성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왜소한 체구를 지니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심리적 고민의 감소, 스트레스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외 회복, 자기신뢰와 자율성, 일관되고 균형 잡힌 자아정체감, 보다 큰 심리적 안정감, 보다 높은 자아존중감, 나아가서 일반적인 행복감의 증대 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6. 인간관계 형성의 능력은 자아실현과 인류의 삶의 질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
인간의 내면에는 잠재능력과 그 잠재능력을 실현하고자 하는 강한 욕구가 있습니다. 개인의 잠재능력인 내적 자원들을 발국하고 실현하고 그 성취감을 경험하게 되는 것은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가능합니다.
한 사람의 인간관계 경험은 자신의 행복이나 불행에만 관련되는 것이 아니고, 생산품의 질과 다른 사람, 즉 우리의 이웃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보다 큰 의미로 확장됩니다. 가령 , 직장에서의 좋은 인간관계는 자신의 행복한 직장 생활뿐만 아니라 직장 동료들의 행복과 생산품과 서비스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생산품과 서비스를 구매하는 사람들의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출처: 학지사 인간관계 심리학
I 김종운. 박성실 공저I
인간관계 심리학 책을 보면서 공부하고 정리해놓은 포스팅입니다. 출처는 학지사 인간관계 심리학 김종운, 박성실 공저입니다. 좋은 책인듯 하여 공부하면서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다른 분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었으면 해서 정리해 두었으니 함께 공부하시면 좋을 듯 싶습니다.
오늘도 포스팅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심리학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 자신의 가치 발견하기 (0) | 2021.01.29 |
---|---|
나를 변화시키려는 결심의 습관화 66일 (0) | 2021.01.28 |
나 변화시키기 (0) | 2021.01.27 |
인간관계 속의 자기이해 (0) | 2021.01.26 |
인간관계의 기초 (0) | 2021.0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