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인감정
감정은 일반적으로 기본 감정과 복합 감정으로 나눈다. 기본 감정이란 모든 사람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원형적 감정을 뜻하는 반면, 복합 감정은 기본 감정의 조합에 의해 생기는 감정을 의미한다. 기본 감정의 수는 학자마다 다른데 Plutchik은 8개의 기본 감정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기본 감정은 기쁨, 수용, 공포, 놀람, 슬픔, 혐오, 분노, 기대다. 또한 이러한 기본 감정이 혼합되면 복합 감정이 된다. 예를 들면 '기쁨+수용=사랑' '분노+기대=공격' '기대+기쁨=낙관" 등이다. 8개의 기본 감정은 인접성의 정도에 따라 유사성이 정도가 결정되며, 바퀴의 양극에 있는 감정은 서로 반대되는 관계의 정서를 의미한다.
한편 대인감정은 신체적, 생리적 반응을 수반한다. 이러한 신체적, 생리적 반응은 감정의 유형에 따라 독특하게 나타난다. EKman 등 신체적, 생리적 반응에 대한 정교한 측정방법을 사용하여 각 감정마다 자율신경계의 독특한 반응 패턴이 있음을 밝혔다. 피부온도는 공포나 슬픔의 경우보다 분노의 경우에 더 높았으며, 심장박동은 행복, 놀람, 혐오보다 분노, 공포, 슬픔 등에서 더 빨랐다. 이러한 불쾌 감정을 지속적으로 경험하면 자율신경계가 과도하게 흥분되어 여러 가지 신체적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대인감정은 신체적, 생리적 반응과 행동적 반응으로 표출되지만 얼굴 표정을 통해서 즉각적으로 나타난다. EKman에 따르면, 감정과 얼굴 근육 간에는 신경회로에 의한 연결이 존재하여 어떤 감정을 느끼면 자동적으로 그에 상응하는 얼굴 근육이 움직여 특정한 얼굴 표정을 만들어 낸다.
감정표현은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사람들을 감정표현의 정도에 따라 실제 감정보다 과장해서 표현하는 외현형과 축소해서 표현하는 내면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성별로 보더라도 여자는 대체로 외현형에 속하고 남자는 내면형에 속하는 경향을 보인다.
대인 행동
대인 행동은 인간관계에서 우리가 겉으로 드러내는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을 말한다. 대인 행동은 다른 사람에게 나의 감정이나 의도를 전달하는 통로인 동시에 타인의 감정과 의도를 전달받는 통로이기 때문에 인간관계에서 중요하다. 또한 대인 행동으로 드러나지 않은 내면적인 감정이나 의도는 타인에게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인간관계에서 모든 의사소통과 교류는 대인 행동을 통해서만 전달된다.
대인 행동의 유형
대인 행동은 몇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반응적 행동과 자발적 행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반응적 대인행동은 타인의 행동에 대한 반응으로 유발된 행동이고, 자발적 대인행동은 타인에게 어떤 반응을 유발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나타나는 행동이다. 그런데 인간관계에서 나타나는 대부분의 행동은 반응적 대인 행동이라고 볼 수 있다. 인간관계는 대인행동을 서로 주고받는 과정으로서 상대방의 행동에 대한 반응으로 나의 대인행동을 나타내고 상대방은 다시 그에 대한 반응으로 대인행동을 나타내게 된다. 이처럼 서로의 대인행동이 꼬리를 물고 연쇄적으로 교환되는 과정이 인간관계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상대방에 대한 감정 경험을 표현하는 시기에 따라 즉각적 행동과 유보적 행동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어떠한 사람은 특정한 감정을 경험하면 즉시 그 자리에서 표출해 버리는 반면, 어떤 사람은 감정을 즉시 표출하지 않고 속에 담아 두었다가 서서히 표출한다. 즉각적 행동은 상대방에게 즉각적인 피드백을 주어 솔직하게 감정을 전달하여 긴장과 오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때로는 경솔하고 충동적인 행동으로 보일 수 있다. 반면 유보적 행동은 이성적으로 판단 하는 신중한 행동이 될 수 있는 반면, 표출되지 않은 불쾌 감정이 마음속에서 증폭되고 긴장이 장기화되어 서로에게 부담이 된다.
끝으로 대인 행동은 상대방에 대한 특이한 감정과 의도를 표현하는 강도에 따라 적극적 행동과 소극적 행동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적극적 행동은 상대방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감정을 직접적으로 명백하게 충분히 표현하는 행동이다. 반면 소극적 행동은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간접적이고 모호하며 우회적으로 표현하는 행동이다.
특히 우리 사회는 유교문화가 뿌리 깊게 퍼져 있어서 감정표현을 억제하는 것을 미덕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간접적이고 우회적으로 표현하거나 때로는 반대로 표현하는 "내숭 행동"으로 표현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대방의 비언어적 행동이나 단서를 통해 의도를 파악하는 "마음 읽기" 즉 "눈치"가 발달하게 된다.
'심리학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구관계의 의미와 특징 (0) | 2021.02.03 |
---|---|
인상형성의 경향성 (0) | 2021.02.01 |
대인사고 [ 의미추론과정 - 의미평가 과정 - 대처결정 과정 ] (0) | 2021.02.01 |
인간관계의 상호작용적 요인 - 대인지각- 인상형성 (0) | 2021.01.31 |
대인기술 (비언어적 대인기술-언어적 대인기술) (0) | 2021.01.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