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인 기술
어떤 사람은 자신이 원하는 대로 다른 사람과 좋은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세련된 사교적 기술을 가지고 있는 반면, 어떤 사람은 타인과 사귀고 싶어도 미숙한 행동 때문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이렇게 인간관계를 성공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는 사교적 능력을 대인 기술이라고 한다. 대인기술은 크게 비언어적 대인기술과 언어적 대인기술로 볼 수 있다.
1) 비언어적 대인기술
우리 사회는 서구사회에 비해 언어적 표현보다는 비언어적 표현을 통해 의사소통하는 비언어적 문화를 지니고 있다. 흔히 비언어적으로 표현되는 타인의 의도와 감정을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눈치라고 한다. 비언어적 대인 기술로 활용될 수 있는 비언어적 소통수단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얼굴 표정을 통해 많은 의미를 전달하게 된다. 우리의 얼굴표정은 안면 전체에 분포하고 있는 약 40여개의 근육에 의해 조절된다. 이러한 근육은 대뇌의 지배를 받으며 수의적으로 혹은 불수의적으로 조절 될 수 있다. 대인관계에서 타인에 대한 사고나 감정에 따라 얼굴근육이 특정한 패턴으로 움직여서 독특한 얼굴표정을 만들어 낸다.
둘째, 눈 맞춤은 상대에 대한 관심을 표현하고 여러 가지 감정을 표현하는 수단이 된다. 눈맞춤은 눈빛과 쳐다보는 시간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전달하게 된다.
셋째, 몸동작을 통해 의사를 표현하는 몸짓은 신체언어의 중요한 범주다. 우리는 이야기하는 동안 강조할 때는 손을 번쩍 들거나 주먹을 불끈 쥐어 들고, 반대할 때는 손을 내젓기도 한다. 또한 고개를 끄덕이거나 가로저어 동의나 반대를 표현하기도 한다. 이렇듯 몸의 움직임을 적절히 사용하는 것은 말의 의미를 더욱 분명하게 하거나 강렬하게 만드는 기능을 한다.
넷째, 신체적 접촉은 여러 가지 감정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어린 시절 우리는 부모와 신체적 접촉을 통해 의사소통하며, 친구 사이에는 서로 몸을 만지고 어깨동무도 한다. 또한 연인은 포옹, 키스, 애무와 같은 신체접촉을 통해 강한 애정을 표현하기도 한다.
다섯째, 물리적 거리나 서로 앉는 방향과 같은 공간 활용은 상대방에 대한 태도를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 예를 들면, 두 사람 사이의 물리적 거리는 친밀감이 높을수록 좁아지는 경향이 있다.
2) 언어적 대인 기술
인간의 의사소통에서 비언어적 표현이 중용한 기능을 하지만 주된 의사소통의 통로는 언어다. 언어는 인간의 내면적인 의도를 전달하는 가장 효과적인 의사소통수단이다. 따라서 대인관계는 언어적 의사소통의 내용과 질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대인관계를 촉진하는 언어적 대인 기술을 몇 가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청하기는 의사소통의 기본적인 과정이며 상대방이 보내는 소통 내용에 주의를 기울이고 이해를 위해 노력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우리가 인간관계에서 사용하는 언어에는 음성언어와 신체언어가 있다. 귀로 음성언어만을 잘 듣는 것은 부분적 경청이다. 적극적 경청이란 귀와 눈을 가지고 상대방의 음성언어와 신체언어를 이해하는 것을 말한다.
둘째, 질문하기는 서로 다양한 정보를 교환하며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주요한 대인 기술이다. 이 기술은 기본적으로 상대방에게 추가적인 정보를 요청하고 상대방의 태도, 감정, 의견을 확인하는 행동이다. 중요한 것은 상대방에 대하여 관심이 있다고 하여 일방적으로 질문공세를 하는 것보다는 상대방의 질문을 받고 또 상대방에게 질문을 하는 균형 있는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셋째, 공감하기는 '내 마음을 나와 같이 알아준다'는 느낌을 주게 되어 상대방에게 대한 신뢰가 증대되고 자기 개방이 촉진된다. 이렇듯 공감하기는 인간관계를 심화시키는 매우 중요하고 강력한 대인 기술이다. 이러한 공감하기는 노력과 훈련에 의해 증진될 수 있다. 공감적 이해 능력에는 두 가지 기초적 요소가 있다. 첫째, 상담자가 상대방의 말속에 깔려있는 주요한 감정, 태도, 신념, 가치 기준을 포착하는 것으로 감수성의 차원이다. 둘째, 상담자가 상대방의 외적 측면뿐만 아니라 내적 측면까지 이해하고 알게 된다는 것을 상대방에게 알려주는 것으로서 커뮤니케이션의 차원이다.
'심리학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인사고 [ 의미추론과정 - 의미평가 과정 - 대처결정 과정 ] (0) | 2021.02.01 |
---|---|
인간관계의 상호작용적 요인 - 대인지각- 인상형성 (0) | 2021.01.31 |
대인신념 속성 (0) | 2021.01.31 |
인간관계의 심리학적 이해 - 대인동기 (0) | 2021.01.30 |
자기개방의 효과 - 조해리의 창 (0) | 2021.01.30 |
댓글